빈집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저자 홍성진, 조재용 페이지 수 - page
발행일 2018-10-02 시리즈 번호 -
첨부파일

▣ 연구과제 빈집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 전문건설업의 참여 확대를 중심으로 -

 

▣ 작성자 : 홍성진조재용 

  

▣ 연구배경 및 목적 


• 빈집정비사업은 방치된 빈집을 효율적으로 정비할 수 있으며,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써 주택공급 및 주택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국내의 빈집 현황은 5년 마다 실시되는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5년 기준 전국 1,068,919, 서울 79,048호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서의 빈집(1년 이상 아무도 거주 또는 사용하지 아니하는 주택)의 경우에도 전국 304,381, 서울 8,801호 집계되고 있음

.

오늘날 빈집의 소유자는 조세지원제도의 부재로 인하여 빈집정비사업을 기피하고 있고,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빈집정비사업의 체계성은 미흡한 상황이며, 현행 빈집정비사업의 시행방식은 공사(시공분야)의 비용, 전문성, 품질 등의 측면에서도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현실임. 


본 연구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의 일반적 내용과 국내외 빈집정비사업의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살펴본 후 전문건설업의 참여 확대를 중심으로 한 빈집정비사업의 활성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함

 


▣ 연구방법 및 기간

 

• 문헌자료 및 관련 법령 분석, 전문가 자문회의

• 연구기간 2018. 02. 01 ~ 2018. 08. 31 

 

 

▣ 연구내용 

 

• 빈집정비사업 개관

-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제정 배경

- 빈집정비사업의 주요 내용

- 빈집정비사업과 도시재생사업의 관계


• 빈집의 현황 및 빈집정비사업의 사례 

- 빈집의 현황

- 국내 빈집정비사업의 사례

- 일본 빈집정비사업의 사례


• 빈집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 국내외 빈집정비사업의 시사점

- 빈집정비사업의 활성화 방안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빈집정비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조세특례 확대, 도시재생 뉴딜사업과의 정합성을 위한 빈집 정의의 확대, 전문건설업 참여 확대를 제시하였음. 


• 빈집정비사업의 활성화 및 주택의 공급주택가격 안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함.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