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공사비 제도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향
| 저자 | 홍성호, 오치돈 | 페이지 수 | - page |
|---|---|---|---|
| 발행일 | 2014-08- | 시리즈 번호 | - |
| 첨부파일 | |||
요약
▣ 연구과제: 실적공사비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 작성자: 홍성호, 오치돈
▣ 연구배경 및 목적
• 2004년 2월 정부는 공공공사 예정가격 작성기준으로 실적공사비 제도를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나, 도입된 지 10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선진적인 운용기반이 조성되지 않고 있음.
• 이에 본 연구는 실적공사비 제도 도입효과의 발생여부와 운영기반의 구축여부를 검토하여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됨.
▣ 연구방법 및 기간
• 연구방법
- 실적공사비 제도 관련 문헌 및 규정 검토
- 실적공사비 적용대상 공종 단가 분석
- 발주기관 및 건설업체 면담 및 설문조사
• 연구기간: 2014. 06 ~ 2014. 07
▣ 연구내용
• 실적공사비 제도의 도입효과 검토
- 공사비 산정방식 선진화 효과
- 공사비 산정기분의 현실화 효과
- 건설업체의 기술경쟁 유도 효과
• 실적공사비 제도의 운용기반 검토
- 건설업체의 성실한 견적 환경 검토
- 발주기관 견적 담당자의 전문성 반영 검토
- 최적가치 지향의 입 · 낙찰 제도 검토
• 실적공사비 제도의 향후 추진방향
- 근본적 처방 : 선진적인 운영기반의 조성(실적공사비 제도 폐지)
- 일시적 처방 : 300억원 이상 공사로 적용대상 제한과 산정체계 개선
▣ 기대효과
• 최근 정부가 구성한 민 · 관 합동 태스크포스(TF)에서 실적공사비 제도와 관련한 다양한 내용이 논의 중에 있으나, 이러한 방안은 일시적인 처방에 불과한 것으로 판단됨.
• 본 연구에서 분석 및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적공사비 제도의 근본적인 처방인 건설회사의 성실한 견적환경 조성, 발주기관 견적 담당자의 재량권 확보 및 전문성 반영, 최적가치 지향의 입 · 낙찰 제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목차
내용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