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 계약보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저자 이종광, 유일한, 박선구 페이지 수 - page
발행일 2012-04- 시리즈 번호 -
첨부파일

연구과제 : 하도급 계약보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전문건설공제조합 계약보증을 중심으로

 


작 성 자 : 이종광, 유일한, 박선구


 

연구배경 및 목적

 • 최근 하도급 계약보증에 있어 계약보증 청구의 형태가 실제손해에서 위약금으로 변형되는 사례가 많아, 보증참여자간 갈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임

 • 이에 본고에서는 하도급 계약보증의 현황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계약보증 청구에 있어 실손보상이 바람직한 근거와 그 정립방안을 제시하였음



연구방법 및 기간

 • 연구방법 :

   - 본고는 하도급 계약보증 청구와 관련하여 그 현황과 법적성질을 검토하고, 주요 사례를 위주로 문제점을 알아봄. 또한 계약보증과 관련된 외국사례들을 살펴봄

   - 또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하도급 계약보증의 실손보상 타당성과 근거를 도출하고자 하였음


 • 연구기간 : 20124~ 20124

 


연구내용

 • 하도급 계약보증의 개념과 법적성질 고찰

   - 계약보증과 하도급 계약보증의 개념 차이

   - 하도급 계약보증 청구권의 법적 성질(실손, 손해배상예정액, 위약벌)


 • 하도급 계약보증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하도급 계약보증 및 보증채권자별 계약보증 현황

   - 하도급 계약보증의 문제점(사례 중심)


 • 하도급 계약보증 실손보상 방안

   - 실손보상 근거 및 방안(표준하도급계약서 사용, 약관변경 등)

   - 실손보상 기대효과 등


 • 외국의 사례는 부록으로 첨부

 


기대효과

 • 최근 정부정책과 사회적 분위기가 대 ·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상생경영, 표준하도급계약서 사용 강화 등을 강조하고 있음. 따라서 보증채권자가 합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범위와 전문조합의 재무건전성 등을 감안하여 실손 보상체계를 추진한다면, 하도급 계약보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보증시장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본 건설정책리뷰는 보고서 PDF파일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양해 부탁드리며, 관련내용은 아래 담당연구진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종광 연구위원 : 02-3284-2608

- 유일한 책임연구원 : 02-3284-2617

- 박선구 연 구 원 : 02-3284-2614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