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건설업 발전을 위한 공업화건축 활성화 방안

저자 유일한, 박선구 페이지 수 - page
발행일 2011-12-22 시리즈 번호 -
첨부파일

연구과제 : 전문건설업 발전을 위한 공업화건축 활성화 방안

작 성 자 : 유일한, 박선구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공업화주택을 비롯한 공업화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으며, 국내외 관련 시장규모도 매년 큰 폭으로 증가 중에 있음

 ​모듈러 등 공업화건축은 새로운 시장 창출과 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책적으로 육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본 연구는 정부가 공업화건축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고 각 공종(업종)별 시공 주체인 전문건설업체들의 중장기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음

연구방법 및 기간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음

   ​- 공업화건축 관련 환경분석(SWOT 분석 등)

   ​- 공업화건축 관련 전문건설업체 인식조사

   ​- 국내외 시장분석(영국 등 해외시장 벤치마킹)

   ​- 공업화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분석

   ​- 개선방향 설정 및 개선방향의 우선순위 평가(AHP )

   ​- 공업화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개선 로드맵 작성

   ​- 공업화건축 활성화를 위한 Action Plan 제시

   ​- 전문건설업체의 중장기적 대응방안 제시

 ​연구기간 : 20115~ 201112

  

연구내용 

 ​국내외 관련 제도 및 정책분석 결과, 공업화건축이 중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최우선적인 개선과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됨

   ​- 그린홈/그린빌딩 보급 확대 정책의 적극적 추진 및 연계 시장 창출

   ​- 기능인력 부족 및 고령화의 대응방안으로 건축시공의 공업화를 추진

   ​- 주택/오피스 시설개선 등 리모델링 시장을 활용(자재/공법 등 개발)

   ​- 건설업의 제조업화 및 건설업과 제조업의 융 · 복합화 정책을 활용

   ​- 소재/장비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공업화건축의 글로벌 스타기업 육성

기대효과 

 ​공업화건축 활성화는 전문분야별 시공주체인 전문건설업체의 인식전환과 적극적인 참여(실제 현장에서 채택)가 선행되어야 할 것임

 ​특히, 공업화건축을 전문건설업계의 발전방안으로 육성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모두 기능인력 부족 및 고령화 대응방안 수립에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공업화건축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 및 촉진을 위하여 표준품셈/실적공사비 현실화 조치 등이 있어야 함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