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기고

대한건설정책연구원과 관련된 보도와 기사 자료입니다.

[대한전문건설신문] 내년까지 건설기업의 키워드는 ‘생존’

작성자 RICON 날짜 2022-10-10
첨부파일

[기고]내년까지 건설기업의 키워드는 ‘생존’

 

* 보   도 : 대한전문건설신문, 2022년 10월 10일(월), 전문가시각

* 작성자 : 박선구 연구위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이후 건설경기는 6년 이상의 장기불황을 겪었다. 금융위기로 인해 경제성장률은 곤두박질쳤고, 환율은 급등했다.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불어난 유동성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물가가 요동쳤고, 스테그플레이션이란 단어가 여기저기서 거론됐다. 위기로 인해 내렸던 기준금리는 물가라는 복병을 만나 다시 올릴 수밖에 없었다. 

당시 주택경기 역시 매우 부진했고, 주택가격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부진한 경제여건에 금리 환경마저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하락은 불가피했다. 분위기가 이렇게 되니 주택공급에 비해 수요가 모자라는 건 당연했다. 전국적으로 미분양이 증가했고, 이는 주택사업에 몰두했던 기업에 악몽으로 다가왔다. 민간 중심의 주택경기가 부진할 때 공공물량이라도 증가했으면 나았을 텐데 그마저도 오히려 감소했다. 결국, 체력이 바닥난 건설사부터 하나 둘씩 쓰러지기 시작했고, 그 결과 100대 건설사 중 절반 가까운 기업이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금융위기 이후 약 6년간의 건설업과 주변상황을 되짚었다. 당시 상황이 지금과 유사한 점이 많다고 느껴지지 않는가? 코로나 팬데믹이란 위기가 있었고, 경제전반이 단기적으로 큰 충격을 받았다. 기준금리는 사상 최저수준으로 떨어졌고, 유동성은 기록적으로 폭증했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 환율 급등 등 다양한 이유로 물가가 치솟았고, 이에 대응해 빠른 속도로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택경기마저 부진한데, 저금리와 유동성으로 인해 급등했던 주택가격이 빠르게 조정받고 있다. 

물론 금융위기 이후와 현재 상황을 비교하면 차이점도 상당하다. 무엇보다 건설수주와 건축허가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주택공급 의지가 상당하다는 측면에서 향후 공급물량 확대를 기대해 볼 수도 있다. 또한, 올해까지 건설경기 회복세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건설자재의 가격 상승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이 지난 8월 25일 내놓은 수정 경제전망은 이러한 점이 반영돼 있다. 건설비용 상승에 따라 올해 건설경기는 당초 전망에 비해 부진하겠지만, 내년에는 부정적 요인들이 점차 해소되고, 분양물량이 증가하면서 완만한 회복세를 예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나리오로 건설경기가 회복세를 보인다면 최선이겠지만, 최악의 상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가장 우려되는 요인은 금리인상의 속도와 폭이 매우 가파르다는 점이다. 2021년 7월까지 0.5%에 불과했던 기준금리가 불과 1년 만에 2.5%가 됐으며, 올 연말까지 3%가 넘는 것이 기정사실화됐다. 여기에 환율까지 급등하고 있어 고물가 상황이 생각보다 오래갈 수도 있다. 

부정적 소식들이 곳곳에서 들려오기 시작하고 있다. 가뜩이나 공사비 상승으로 어려움이 큰 상황인데, 최근에는 자금조달 문제로 좌초되는 사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은행, 증권사 할 것 없이 PF가 사실상 중단돼 개발사업 자체가 위기로 빠져들고 있다. 그만큼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현재의 건설업 상황을 부정적으로 본다는 의미이다. 여기에 내년도 정부의 SOC예산은 기대와 달리 오히려 10%가 줄어들었다. 

내년도 건설경기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어쩌면 긍정적 요소보다 부정적 요인을 확대 해석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 상황은 보수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위험 대비라는 측면에서 낫다고 판단한다. 어쩌면 내년도 건설기업의 키워드는 생존이 될지도 모르겠다. 


☞ 원본기사 바로가기